시스템 반도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도체의 Z에 대한 이야기 - D램 시장과 기술 한계 극복(1)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이 수요 급감과 가격 하락에 맞서 초격차 기술 개발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황 사이클이 ‘죽음의 계곡’으로 불리는 불황을 벗어나면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미국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D램 점유율 3위 마이크론은 지난 16일 세계 최대 용량인 16Gb 모바일 D램 LPDDR4X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제품은 기존 최대 용량인 삼성전자의 12Gb 모바일 D램을 뛰어넘는 제품입니다. 7월 12Gb D램 양산에 들어간 D램 점유율 1위 삼성전자는 불과 5개월 만에 제품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삼성전자의 LPDDR5는 3월 역대 최대 용량을 구현한 ‘1..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4) - 6나노, 5나노, 그 이후의 공정싸움 https://youtu.be/ESfYd7U4ppg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7 나노를 넘어 5 나노, 3 나노에 대한 준비가 양사의 파운드리 사업과 관련한 미래를 점쳐볼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삼성은 삼성대로 TSMC는 TSMC대로 그 어느 때보다 불꽃 튀는 공정 홍보가 한창입니다. TSMC는 확실히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아직 7 나노 EUV양산에도 들어가지 못한 시점에 5 나노 EUV 공정이 시험 생산에 들어갔다는 이야기를 언론에 공표하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 내용을 가지고 일부 언론에서 TSMC가 5 나노로 삼성을 다시 한번 더 앞..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3) - 7 나노와 7 나노 EUV https://youtu.be/ESfYd7 U4 ppg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인텔의 10 나노 공정으로의 이행이 계속해서 미루어지는 동안 TSMC는 2017년 4월에 세계 최초로 7 나노 공정의 위험 생산에 돌입하게 됩니다. 물론 이 위험 생산의 경우 양산까지 가는 과정 중에 다른 변수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제품이 출하되기까지 얼마나 걸리게 될지 조금 더 기다려봐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그 기세 그대로 TSMC는 7 나노 제품을 시장에 공급한 세계 최초의 파운드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의 영향력이 더욱 굳건해진 상황. 이 지점에서 삼성이 등장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7 나노'.. 더보기 [삼성전자] "반도체 2030 비전"와 그 이후 진행중인 이야기들 (AI 연구 집중, IoT 프로세서 신제품 공개, 차량용 프로세서 출시) 삼성전자는 24일 시스템 반도체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30년까지 국내 연구개발(R&D)분야에 73조 원, 최첨단 생산 인프라에 60조원을 투자하고 연구개발(R&D) 및 제조 전문인력 1만 5000명을 채용한다는 '2030 반도체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또한 시스템 반도체 인프라와 기술력을 공유해 팹리스(Fabless,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디자인하우스(Design House, 설계 서비스 기업) 등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는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와 국내 중소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한국 시스템 반도체산업 발전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삼성전자가 1일(현지.. 더보기 [삼성전자] 세계 최초 "3진법 반도체" 신기술 구현 -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 가속화 삼성전자의 지원을 받은 국내 연구팀이 전력소비량을 줄이면서 크기도 줄일 수 있는 "3진법 반도체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습니다. 1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김경록 교수 연구팀은 초절전 '3진법 금속-산화막-반도체(Ternary Metal-Oxide-Semiconductor)'를 세계 최초로 대면적 실리콘 웨이퍼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5일(영국 현지시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김 교수팀 연구지원을 위해 파운드리 사업부 팹(FAB)에서 미세공정으로 3진법 반도체 구현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