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텔

인텔(Intel)의 진짜 적은 AMD가 맞나?(ft. 다가올 IoT 시대) 안녕하세요. It's입니다. 오늘은 대부분이 인텔의 라이벌은 AMD라고 생각하지만 IoT 시대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진정한 적이 AMD가 맞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PC 시장에서는 인텔과 AMD가 엎치락뒤치락 치열하게 경쟁해 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포스팅을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ckh7741/221990151335 인텔(Intel), AMD의 CPU전쟁 - 애슬론(Athlon)에서 코어(Core) 그리고 라이젠(Ryzen)까지 안녕하세요​IT's입니다.​오늘은​PC 시장의 왕좌를 두고 팽팽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인텔과 A... blog.naver.com PC 시장에서의 두 강자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동안, IT 업.. 더보기
인텔(Intel), AMD의 CPU전쟁 - 애슬론(Athlon)에서 코어(Core) 그리고 라이젠(Ryzen)까지 안녕하세요 IT's입니다. 오늘은 PC 시장의 왕좌를 두고 팽팽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인텔과 AMD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AMD Win- 2000년 3월 6일, AMD K7 아키텍처 기반인 CPU, "애슬론(ATHLON)"이 등장하였습니다. 가장 빠르게 최초로 1GHz의 벽을 돌파하였습니다. -Intel Lose- 인텔은 AMD의 애슬론 대응 전략으로 "넷버스트(Netburst) 아키텍처"를 개발했습니다. 2000년 12월, 이를 처음으로 사용한 "펜티엄 4 윌라멧"을 출시했습니다. 넷버스트 아키텍처는 CPU 코어 클럭이 비약적 증가에 방점을 찍었지만 반대로 클럭 당 처리 명령수(IPC, Instruction Per Cycle)가 감소하였고 발열 이슈 그리고 소비전력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이.. 더보기
UniSoc(유니Soc) 6나노 5G 통합 'Tiger T7520'칩셋 발표-우리의 AP 통신칩 시장을 위협할 잠재적 기업 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은 1. 중국의 UniSoc가 어떤 기업인지 2. 중국과 대만 그리고 중국과 미국 관계는 어떠한지 3. 그래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떠한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세계적인 반도체 펩리스 업체들 중 중국의 반도체 굴기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팹리스 기업들. 그 중 더욱 주의 깊게 봐야 할 중국의 두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화웨이의 자회사 -HiSilicon 칭화유니의 자회사 - UNISOC 입니다. HiSilicon은 화웨이의 자회사로 매출액 중 90%가 화웨이 물량입니다. 화웨이가 성장함에 따라 하이실리콘의 매출 성장이 어마어마합니다. 삼성에는 엑시노스(Exynos) Ex) 엑시노스 992 애플에는 A 시리즈Ex) A14 바이오.. 더보기
반도체의 Z에 대한 이야기 - 인텔의 포베로스(2) https://youtu.be/ivuxlA_twww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이 Z에 대한 이야기를 이미 계속해서 접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제 128단까지 쌓아 올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말입니다. 하지만 반도체 시장의 Z는 단지 낸드플래시만의 것은 아닙니다. D램 시장에도 이제 Z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되는 중입니다. "패키징을 통해 디램을 적층 시킨다" 이 문장으로 혹시 떠올리시는 단어가 있으신가요? 어떤 분들께 이제 너무도 익숙해진 단어일지도 모를 이 HBM이 메모리 시장의 또 다른 Z의 모습이 되겠습니다. 기존의 사용하던 일반 D램은 PCB 기판의 이 D램칩들이 이렇게 가로로 정렬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HBM에서는..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2) - AMD의 탈IDM화 그리고 삼성의 기회 https://youtu.be/TIn1MTAJkYY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실제로 파운드리에서 미세공정이 그렇게까지 많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 않은가 하는 부분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지난 시간을 통해서도 정리한 바가 있듯이 앞서 언급한 7 나노나 5 나노 같은 이런 최신 공정은 낸드플래시나 D램등의 메모리 반도체 이야기와는 구분해야 하는 이른바 비메모리 분야에 대한 이야기가 되겠고 이 비메모리 안에서도 최신 공정이 사용되는 비율은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TSMC의 매출 구조를 분석해보면 이와 같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대로 사용하는 공정이 있는 것처럼 고객사들이 무조건 최신의..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1) - TSMC의 파운드리 시장 독주 https://youtu.be/TIn1MTAJkYY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세계 최고의 반도체 회사는 어디인가는 물음에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메모리 반도체의 초호황에 힘입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지만 하나의 기업을 꼽는 것이 그렇게 쉬운 문제는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느 기업이 세계 최고의 파운드리 회사인가 라는 물음에는 어떠신가요? 주형에 쇳물을 부어 금속제품을 찍어내는 주물공장에서 유래한 이 단어.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의 실제 생산을 담당하는 이 파운드리 시장에서 오랜 시간 TSMC는 독보적인 강자였고 2019년 1사 분기에 들어 40퍼센트대 후반으로 점유율이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누가 뭐래도 파운드.. 더보기
IoT시대, 인텔과 AMD에 대한 이야기(2) - 스마트폰에서 IoT / 인텔이 주는 교훈 https://youtu.be/PktMU--wmw0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지금 IT업계에는 스마트폰에서 IoT로의 또 한 번의 패러다임 전환이 임박해 있습니다. 그리고 인텔과 AMD로 대변되는 PC업계의 X86진영과 퀄컴과 애플 그리고 삼성으로 대변되는 모바일의 ARM진영 중 어느 쪽이 IoT 플랫폼에 더 유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특히나 인텔과 AMD에게 가장 위협적인 부분은 모바일 진영이 IoT전환시기에 맞추어 PC와 모바일 간에 플랫폼 통합을 계획하고 있다는 점이 되겠습니다. 우선 애플의 경우는 아이맥과 맥북과 같은 PC 라인업에 현재 인텔의 CP.. 더보기
IoT시대, 인텔과 AMD에 대한 이야기(1) - 인텔의 독주체제 그리고 AMD의 라이젠 CPU 반격 https://youtu.be/PktMU--wmw0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2006년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당시는 인텔과 AMD진영 간의 점유율 싸움이 한참 이었습니다. 인텔은 펜티엄 4의 발열 이슈로 인해 거센 비판에 직면해 있던 상황이었고 반대로 AMD는 바로 그 유명한 애슬론이 맹위를 떨치던 시기였습니다. 이후 절치부심한 인텔 진영에서는 전작의 실패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아키텍처를 개선한 새로운 제품인 코어 2 듀오를 내놓게 되었습니다. 코어 2 듀오는 성능에서도 합격점을 줄 수 있을 만큼 준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고 이는 과감한 인텔의 저가 정책과 맞물려 시장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와 반대로 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