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

LG전자는 왜 스마트폰을 포기하지 않을까 - 다가올 IoT시대, 벨벳의 의미 안녕하세요 IT's입니다. 오늘은 1. LG전자의 MC사업부에 대해서 2. LG의 IoT로 가는 길 그리고 3. 다가올 IoT 시대 전략의 핵심, 스마트폰 이렇게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이 팔렸던 브랜드, LG전자 MC사업부의"CYON"입니다. 특히, 성공적 흥행을 이끌었던 LG의 폰, 프라다폰, 초콜릿폰, 샤인폰, 롤리팝 등이 있습니다. 이동 단말기(웨어러블, 스마트폰)를 주력으로 하는 MC사업부에서 2008년~2009년 LG전자 매출의 절반이 나왔었습니다. 특히, 2008년 MC사업부의 영업이익은 1조 4242억으로 LG전자 전체 영업이익인 1조 2269억보다 많았습니다. 과거에 이랬던 LG전자의 MC사업부는 2015년 이후 5년 연속 적자라는 안타까운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 더보기
LG전자는 왜 전장기업 ZKW를 인수했을까 - IoT시대, 전장사업 강화 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1. LG전자에서 VC 사업부 의미 2. 전장기업 ZKW 기업에 대해서 3. ZKW 인수로 인한 기대 효과 크게 3가지입니다. LG 전자의 사업 부문에 대해서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주요 생활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글로벌 가전사업을 주도하기 위해 IoT,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대변되는 스마트 사업 확대를 본격화하며 미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분야. HE(Home Entertainment): 디지털 미디어(TV, 모니터, 노트북 등의 IT 제품) 올레드 TV AI ThinQ를 통해 인공지능 역량 보여줌. 노트북 Gram 등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 더보기
[LG 디스플레이] 일본 JDI 를 넘어 미래 먹거리 차량용 디스플레이 1위 달성 LG디스플레이가 올 1분기에 전 세계 차량용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처음 출하량 1위에 올랐습니다. 매출액 기준으로도 LG디스플레이는 작년 1분기보다 34% 늘어난 4억 1380만 달러로 선두 자리를 지켰습니다. 특히 매출 점유율은 1년 만에 14%에서 23%로 높아졌습니다. 올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면서 시장을 선점한 LG 디스플레이는 현대차 등 자동차 업체가 스마트폰 업체에 버금가는 중요한 공급처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LG디스플레이는 넓은 시야각을 가능하게 하는 ‘IPS(평면 정렬 스위칭)’와 터치의 정확성을 높인 ‘인터치(in-TOUCH)’ 등 독자 개발한 기술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현대ㆍ기아차, 다임러 벤츠, BMW, 테슬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