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1. LG전자에서 VC 사업부 의미
2. 전장기업 ZKW 기업에 대해서
3. ZKW 인수로 인한 기대 효과
크게 3가지입니다.
<LG전자에서 VC사업부 의미>
LG 전자의 사업 부문에 대해서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주요 생활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글로벌 가전사업을 주도하기 위해 IoT,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대변되는
스마트 사업 확대를 본격화하며 미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분야.
HE(Home Entertainment):
디지털 미디어(TV, 모니터, 노트북 등의 IT 제품)
올레드 TV AI ThinQ를 통해 인공지능 역량 보여줌.
노트북 Gram 등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공략을 강화.
MC(Mobile Communications):
이동 단말(웨어러블, 스마트폰)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한 미래 핵심 기술 연구 개발에 집중.
적자가 연속이지만 미래 IoT 시대를 대비하여
버릴 수 없는 사업부.
VC(Vehicle Components):
자동차 부품(전기자동차용 부품, ADAS, 자동차 램프)
크게 4가지 사업부가 있습니다.
작년 사업 부문별 매출을 본다면,
H&A/HE 사업부가 최상위권이고
VC 사업부가 최하위권입니다.
하지만,
투자 부분에서 본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2017년
H&A 투자액 = VC 투자액 비슷했고
2018년
VC 투자액이 무려
1조 6000억 원까지 증가하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비록 매출은 적지만 미래 신성장동력으로써
LG전자가 선정한 미래 먹거리는 바로
VC 사업부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VC 사업부의 이 엄청난 투자금액의 배경에는
오스트리아의 전장부품 업체
ZKW 인수가 있습니다.
<ZKW 기업에 대해서>
ZKW의 주력 상품은
프리미엄 헤드램프(자동차 전조등)
주요 고객사는
벤츠, BMW, 아우디 등 고급 자동차 업체들입니다.
ZKW 지분 100% 소유한 ZKW 홀딩스의 지분
70%-LG전자 + 30%-(주)LG = 약 1.4조 원(11억 유로)
각각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ZKW는 차세대 광원을 탑재한 프리미엄 헤드램프를
세계 최초로 양산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량 기준 프리미엄 헤드램프 시장 Top 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20%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ZKW 인수로 인한 기대효과>
많은 사람이 VC 사업부의 외형 확장을 위해
ZKW를 인수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더 확실한 기대효과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우선, 완전 자율주행차의 핵심 2가지인
자율 주행 플랫폼 + 탑승자 안정성
= AI에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질
= 헤드램프(눈 역할) = 미래 전장사업의 핵심부품
입니다.
기대효과 첫 번째는
자율주행 시장에서
굉장히 중요할 헤드램프를
LG전자는 ZKW를 통해
안정적이고 높은 기술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대효과 두 번째는
ZKW의 강점 중 하나인
브랜드 프리미엄성을 통해 확보한
고급 브랜드 차 공급망입니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자율주행 시장 도입부에서의
프리미엄 시장 초기 수요 확보 =>
엔트리(Entry) 확산
그리고 이어질 확산기에는
메스(Mass) 시장 공략을 통한
점유율 확대라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대효과 세 번째는
다가올 자율주행 시장을 대비하는
LG화학, 이노텍, 하우시스, 디스플레이, CNS 등과의
계열사 시너지입니다.
기대효과를 요약하자면,
LG는
1. 프리미엄 헤드램프 공급 가능
2. 고급 브랜드 차 공급망을 통해 시장 초기 수요 확보
3. LG 계열사들과의 시너지 효과
입니다.
LG전자는 왜 ZKW를 인수했을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VC 사업부는 LG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며
ZKW 인수로 인해
단기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IT's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Intel), AMD의 CPU전쟁 - 애슬론(Athlon)에서 코어(Core) 그리고 라이젠(Ryzen)까지 (0) | 2020.06.08 |
---|---|
LG전자는 왜 스마트폰을 포기하지 않을까 - 다가올 IoT시대, 벨벳의 의미 (0) | 2020.06.01 |
UniSoc(유니Soc) 6나노 5G 통합 'Tiger T7520'칩셋 발표-우리의 AP 통신칩 시장을 위협할 잠재적 기업 (0) | 2020.05.18 |
삼성전자, EUV를 넘어 세계 최초 3나노 GAA 개발 - TSMC와 파운드리 경쟁 (0) | 2020.05.11 |
삼성전자, 에어팟을 이길 수 있을까 - 버즈빈VS에어팟 프로 라이트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