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TIn1MTAJkYY
세계 최고의 반도체 회사는 어디인가는 물음에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메모리 반도체의 초호황에 힘입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지만
하나의 기업을 꼽는 것이 그렇게 쉬운 문제는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느 기업이 세계 최고의 파운드리 회사인가 라는 물음에는 어떠신가요?
주형에 쇳물을 부어 금속제품을 찍어내는 주물공장에서 유래한 이 단어.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의 실제 생산을 담당하는 이 파운드리 시장에서 오랜 시간 TSMC는
독보적인 강자였고 2019년 1사 분기에 들어 40퍼센트대 후반으로 점유율이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누가 뭐래도 파운드리 시장은 현재 TSMC시대입니다.
이 시대라는 표현, 조금은 포괄적인 표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파운드리 시장의 과거의 시간들을
잠시 살펴보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2000년대 후반은 세계 파운드리 시장의 빅 4 체제가 형성되어가던 시기였습니다.
그래프로는 이렇게 표현이 됩니다.
그중에서 압도적인 TSMC의 독주, 그 아래 같은 대만 국적의 UMC가 포진하고
차터드 세미콘을 인수해 몸집을 늘린 글로벌 파운드리의 약진도 돋보입니다.
파운드리 시장의 대강의 형세가 그려집니다.
다른 나라들의 모습을 다소 초라하게 만들 만큼 대만이 맹위를 떨치고 있는 시장의 모습입니다.
물론 미국의 기업들도 계속해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시기였고
이 시장을 향한 중국의 야욕도 조금씩 엿보이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업체로는 메그나칩, 동부하이텍 그리고 삼성 정도가 중하위권에서 버티고 있습니다.
이때가 2000년대 후반의 모습이 되겠고
이제 오늘날로 돌아와 다시 이 장표를 보면 어떠신가요?
지금이 TSMC의 시대라는 표현이 더 확실하게 다가옵니다.
<파운드리 시장의 기술력>
대만 최고의 직장, 세계 최고의 파운드리 기업
TSMC를 만들어온 원동력을 꼽으라면 무엇이 있을 까요?
많이들 하시는 이야기 중 패키징 기술이 있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아주 조금은 희석이 되었지만 당시 TSMC의 패키징 기술은
지금보다 더 돋보적인 기술이었고
이렇게 칩을 공정하는 전 공정에서
조립과 검사까지의 후 공정까지의 이 전체 공정을 모두 책임져 줄 수 있는 TSMC입니다.
거기에 순수 파운드리 업체로서는 유례없는 규모의 투자를 이어오면서
그들이 획득한 수많은 지적재산권들은 이미 업계 표준으로 통하고 있습니다.
그런 시장 속에서 가장 앞선 공정마저 갖춘 TSMC가 시장의 파운드리 업체들 중
더 많은 고객사들에게 선택을 받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습니다.
그리고 이 파운드리 시장은 승자승 원칙이 적용되는 시장입니다.
고객사들이 칩을 설계하는 시점부터 이미 현재 파운드리가 보유하고 있는
지적 재산권이나 기존의 협력 경험들이 반도체 제작 효율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존의 계약을 맺었던 파운드리가 계속해서 선호될 수밖에 없고
그렇게 규모를 확보해 얻은 이익으로 또다시 대규모 투자로 이어가는 수순으로 이어지면서
TSMC의 독주 체제가 확립되어 왔습니다.
<TSMC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을까?>
지금으로서는 매우 어려운 이야기처럼 느껴집니다.
TSMC와 오랜 시간 함께 해온 팹리스 업체들은 구태어 이 파트너십을 끊을 만한 특별한 이유를 찾기 어렵고
패키징 기술들을 비롯해 TSMC가 이미 이뤄놓은 이 업계 표준이 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해 설계를 하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최신 공정에 대한 부분입니다.
사실 반도체 업계에서 최신 공정과 관련된 부분은 TSMC의 타이틀은 아니었습니다.
가장 앞선 공정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는 인텔이었습니다.
하지만 인텔 스스로 기술 리더십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을 만큼 확고했던 기술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좁혀져 갔고 공정 이행 단계에 따라 TSMC가 역전을 하는 시기가 생기더니
급기야 10 나노를 기점으로 TSMC에게 완전한 역전을 허용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현재, 인텔의 10나노 공정의 제품들은 아직 출시조차 되지 않은 상황에
TSMC는 이미 7 나노 양산을 마치고 5 나노 공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제 TSMC는 앞선 기술마저 갖춘 파운드리 시장의 더욱더 독보적인 선두기업이 되었습니다.
파운드리 빅 4를 이루었던 나머지 기업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빅 4 업체들 중 TSMC를 견제할 만한 기업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1부에서는 TSMC의 과거 그리고 현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최신 공정의 중요성에 대해서 넘어가려고 합니다.
다음 이야기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이길 수 없을 것만 같은 TSMC를
대적할 수 있는 무기를 갖게 된
삼성에 대한 이야기를 더 자세히 다뤄보고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IT's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3) - 7 나노와 7 나노 EUV (0) | 2019.08.13 |
---|---|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2) - AMD의 탈IDM화 그리고 삼성의 기회 (0) | 2019.08.09 |
제2의 반도체, 미래 차세대 먹거리 배터리 시장 (2) -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 차세대 2차 전지 / 전기차 시장의 확대 (0) | 2019.08.02 |
제2의 반도체, 미래 차세대 먹거리 배터리 시장 (1) -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 파나소닉과 테슬라의 관계 (0) | 2019.08.01 |
삼성의 엑시노스, 퀄컴의 스냅드래곤 그리고 7나노 EUV (2) - 삼성전자의 7나노 EUV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