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 대통령과 미래 자동차 협력 >
재계 2위인 현대차의 핵심 먹거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자동차의 판매 감소에 중국 시장의 리스크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조만간 중국을 방문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사업장과 판매 현황 등을 직접 점검할 가능성이 큽니다.
올해 상반기 현대차의 판매량은 212만 761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가 감소했습니다.
국내 판매량은 8.4% 늘었으나 해외 판매가 7.6% 줄었습니다.
현대차로서는 중국시장의 부진이 뼈아플 수 밖에 없습니다.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차의 올 상반기 누적 판매량(27만 6412대)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3%나 빠졌습니다.
정 수석부회장을 중심으로 현대자동차는 미래전략 수립에 여념이 없습니다.
미래 자동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기업 투자와 외부 인재 영입 등 여러모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현대자동차의 미래 경쟁력 강화 방안 중 하나는
이스라엘과 함께 손을 잡고 미래 자동차에 관한 협력을 증대시키는 것입니다.
국빈으로 한국을 방문한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이 15일 정의선 현대차 그룹 수석부회장을
만나 미래 신산업 협력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리블린 대통령은 이날 현대·기아자동차 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이스라엘 스타트업들과 현대차는 자동차·안전·혁신과 같은 주요 미래 과제를 더 큰 기회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현대차가 몇몇 이스라엘 스타트업들과 맺은 파트너십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현대차의 주요 판매 거점입니다. 이스라엘의 자동차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연 26만여 대 수준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지난 2018년 이스라엘에서 3만 8022대(14.2%), 3만 5806대(13.4%)를 판매해
나란히 1, 2위의 자동차 판매량을 기록했다.
< 이스라엘 스타트업 전략 투자 강화 >
현대자동차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전략 투자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11월 이스라엘에 설립한
개방형 혁신 센터인 ‘현대 크래들 텔 아비브(Hyundai CRADLE Tel Aviv)’를 통해
지난해 인공지능업체인 알레그로. ai, 에너지업체인 H2프로, 드론 업체 퍼셉토 등에 전략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현대차 그룹은 올해 6월에도 이스라엘의 첨단 스타트업인 엠디고에 투자를 결정하고
미래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용 의료서비스 개발을 위해 협력 중입니다.
현대차는 이번 엠디고와의 협업을 통해 자사 차량에 최적화된 탑승객 외상 분석 기술 개발,
고객 안전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양사는 4월경부터 현대자동차의 주요 차량 충돌 시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탑승객의
상해 수준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현대차 그룹 관계자는
“현대차 그룹이 갖춘 친환경 첨단 자동차 신기술에 대한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의 관심도가 높았다”며
“현대차 그룹은 친환경·자율주행 기술을 비롯해 전 세계가 주목할 만한 첨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현대차의 핵심 먹거리에 대한 불안정함이 증폭되는 가운데
기업은 미래 먹거리에 대해 고민하고
전략을 수립하여 위기를 기회로 바꾸시려는 모습을
이스라엘 스타트업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와
이스라엘 대통령과의 만남을 보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재계 2위인 현대차의 무궁한 발전과 지속 가능한 경영을 응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IT's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디스플레이] 일본 JDI 를 넘어 미래 먹거리 차량용 디스플레이 1위 달성 (0) | 2019.07.23 |
---|---|
[현대차] 팰리세이드 고객 2만명 떠나게 한 귀족 노조의 파업 예고 (2) | 2019.07.20 |
[삼성전자] 세계 최초 "3진법 반도체" 신기술 구현 -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 가속화 (2) | 2019.07.18 |
[삼성물산] "이재용 부회장의 공격경영" = 베트남 최초 LNG 터미널 공사 수주 + 말레이시아 복합몰 공사 수주 (0) | 2019.07.15 |
[현대건설] 3조 2천억원 규모 "사우디 공사 수주 성공"과 국내 대형 5대 건설사 2분기 실적 (0) | 201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