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도체의 Z에 대한 이야기 - D램 시장과 기술 한계 극복(1)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이 수요 급감과 가격 하락에 맞서 초격차 기술 개발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황 사이클이 ‘죽음의 계곡’으로 불리는 불황을 벗어나면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미국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D램 점유율 3위 마이크론은 지난 16일 세계 최대 용량인 16Gb 모바일 D램 LPDDR4X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제품은 기존 최대 용량인 삼성전자의 12Gb 모바일 D램을 뛰어넘는 제품입니다. 7월 12Gb D램 양산에 들어간 D램 점유율 1위 삼성전자는 불과 5개월 만에 제품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삼성전자의 LPDDR5는 3월 역대 최대 용량을 구현한 ‘1.. 더보기 미중 무역 전쟁에 맞선 화웨이의 하모니OS(2) - 안드로이드 발전과정과 훙멍OS의 한계 https://youtu.be/j9 viTYUo-yk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먼저 이야기할 부분은 과연 하모니 OS가 성능면에서 안드로이드를 앞서는가에 대한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점과 관련해 화웨이의 ARK Compiler와 대응되는 안드로이드의 안드로이드 런타임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 나누면 좋겠습니다. 우선 앞선 설명대로 초창기의 안드로이드 경우 개발자가 만든 문서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작업을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동안에 진행하였고 이것은 앱 실행 시 혹은 앱 전환 간의 부하를 가중시켜 끊김 현상을 유발하는 것이 그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어왔었습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앱이.. 더보기 [현대차]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차 능동변속기 ASC 개발 및 신형 소나타 출시 현대차가 독자 개발한 ASC 제어시스템은 하이브리드차의 주행 모터를 활용해 자동변속기를 초당 500회씩 초정밀 제어하는 신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하이브리드차 대비 30% 빠른 변속이 가능해져 주행 성능은 물론, 연비와 변속기 내구성 등 3가지 요소를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차는 연비를 높이기 위해 일반 자동변속기에 들어가는 동력 변환 장치인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아 변속이 느리거나 변속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습니다. 변속감이 일반 내연기관차에 비해 다소 떨어졌고 급가속이 필요한 순간에 때때로 변속이 지연돼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신속한 가속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능동 변속기 ASC 기술이 적용되면서 별도 추가 .. 더보기 엘론 머스크의 성공을 위한 3가지 법칙 - 페이팔 / 스페이스엑스 / 테슬라 / 솔라시티 https://youtu.be/sX1Y2JMK6g8 SpaceX Falcon Heavy - Reusable Rocket 오늘 이야기해 볼 인물은 바로 "엘론 머스크"입니다. 위의 영상은 최근 스페이스 X의 팔콘 해비가 재사용에 성공한 영상입니다. 이 영상을 보며 인류의 발전을 한 사람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을 보면서 가슴 속이 뜨거워지고 저 또한 엘론머스크처럼 진취적인 생각과 열정적인 행동을 통해 정말 의미 있는 일들을 하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알면 알수록 존경심이 드는 엘론머스크의 무모한 도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999 Paypal [페이팔] 2002 SpaceX [스페이스엑스] 2003 Tesla [테슬라] 2006 Solar City [솔라시.. 더보기 미중 무역 전쟁에 맞선 화웨이의 하모니OS(1) - 안드로이드를 대적할 훙멍 OS https://youtu.be/j9 viTYUo-yk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미중 무역 갈등 중 미국이 내놓은 가장 위협적인 카드로 평가받는 화웨이 규제. 미국이 꺼낸 카드는 너무나도 강력해 보였고 이 중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차단 조치는 사실상 화웨이가 버티기 힘든 결정적인 한방처럼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화웨이는 오히려 이에 맞서 본인들이 오랜 시간 준비해온 안드로이드를 대체할 독자 OS가 있음에 자신 있게 피력했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중국 입장에서는 재난에 가까운 미국 규제에 맞서 화웨이가 준비한 노아의 방주, 훙멍 OS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불과 몇 달 전 까지만 해도 화웨이의 독자 OS와 관련해서 우..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4) - 6나노, 5나노, 그 이후의 공정싸움 https://youtu.be/ESfYd7U4ppg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7 나노를 넘어 5 나노, 3 나노에 대한 준비가 양사의 파운드리 사업과 관련한 미래를 점쳐볼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삼성은 삼성대로 TSMC는 TSMC대로 그 어느 때보다 불꽃 튀는 공정 홍보가 한창입니다. TSMC는 확실히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아직 7 나노 EUV양산에도 들어가지 못한 시점에 5 나노 EUV 공정이 시험 생산에 들어갔다는 이야기를 언론에 공표하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 내용을 가지고 일부 언론에서 TSMC가 5 나노로 삼성을 다시 한번 더 앞..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3) - 7 나노와 7 나노 EUV https://youtu.be/ESfYd7 U4 ppg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인텔의 10 나노 공정으로의 이행이 계속해서 미루어지는 동안 TSMC는 2017년 4월에 세계 최초로 7 나노 공정의 위험 생산에 돌입하게 됩니다. 물론 이 위험 생산의 경우 양산까지 가는 과정 중에 다른 변수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제품이 출하되기까지 얼마나 걸리게 될지 조금 더 기다려봐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그 기세 그대로 TSMC는 7 나노 제품을 시장에 공급한 세계 최초의 파운드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의 영향력이 더욱 굳건해진 상황. 이 지점에서 삼성이 등장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7 나노'.. 더보기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의 "EUV" 전쟁 TSMC vs 삼성전자 (2) - AMD의 탈IDM화 그리고 삼성의 기회 https://youtu.be/TIn1MTAJkYY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실제로 파운드리에서 미세공정이 그렇게까지 많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 않은가 하는 부분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지난 시간을 통해서도 정리한 바가 있듯이 앞서 언급한 7 나노나 5 나노 같은 이런 최신 공정은 낸드플래시나 D램등의 메모리 반도체 이야기와는 구분해야 하는 이른바 비메모리 분야에 대한 이야기가 되겠고 이 비메모리 안에서도 최신 공정이 사용되는 비율은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TSMC의 매출 구조를 분석해보면 이와 같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대로 사용하는 공정이 있는 것처럼 고객사들이 무조건 최신의..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