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젯서울

UniSoc(유니Soc) 6나노 5G 통합 'Tiger T7520'칩셋 발표-우리의 AP 통신칩 시장을 위협할 잠재적 기업 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은 1. 중국의 UniSoc가 어떤 기업인지 2. 중국과 대만 그리고 중국과 미국 관계는 어떠한지 3. 그래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떠한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세계적인 반도체 펩리스 업체들 중 중국의 반도체 굴기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팹리스 기업들. 그 중 더욱 주의 깊게 봐야 할 중국의 두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화웨이의 자회사 -HiSilicon 칭화유니의 자회사 - UNISOC 입니다. HiSilicon은 화웨이의 자회사로 매출액 중 90%가 화웨이 물량입니다. 화웨이가 성장함에 따라 하이실리콘의 매출 성장이 어마어마합니다. 삼성에는 엑시노스(Exynos) Ex) 엑시노스 992 애플에는 A 시리즈Ex) A14 바이오.. 더보기
삼성전자, EUV를 넘어 세계 최초 3나노 GAA 개발 - TSMC와 파운드리 경쟁 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은 TSMC를 맹추격하는 삼성전자의 강력한 기술인 3나노 GAA(Gate All Around)에 대해 그리고, 3나노 이후 삼성의 비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 대만의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 - tsmc 2020년 1분기, 점유율 54.1% 전년대비 6% 증가 매출액 전년대비 45% 증가​ 영업이익 약 5조 2000억 전년대비 100% 증가 증가하는 반도체 수요로 실적이 좋아지는 tsmc. 이런 tsmc에 맞서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2020년 1분기, 점유율 15.9% 전년대비 3.2% 감소 매출액 전년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약 3조 9900억 전년대비 3% 증가 (DS부문 = 메모리 + 비메모리) ​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더보기
삼성전자, 에어팟을 이길 수 있을까 - 버즈빈VS에어팟 프로 라이트 https://youtu.be/EMMBKCWoF4M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유튜버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T's 입니다. 오늘은 삼성이 하만 인수 3년 되는 이 시기, 삼성 IM 사업부의 신 성장동력에 대해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미래전략을 통해 애플의 에어팟을 이길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신 성장 동력 창출"은 기업들의 생존을 위해 가장 어려운 과제입니다. 위의 그래프는 그 과제를 충실히 해내어 얻은 과실을 누린 애플의 모습 입니다. And,​ 여전히 그 과제들을 충실히 하고있는 애플. 2020년, "에어팟" = 애플의 신 성장동력의 중심. 출시 초기, 시장에 팽배했던 수많은 조롱, 비난. 지금은 보란듯이 넘어선 멋진 이름 = 에어팟. 에어팟이.. 더보기
SMIC, 중국 1위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양몽송,14나노 공정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유튜버"가젯 서울"구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공대생입니다. 오늘은 앞으로 우리가 가져와야 할 시장이 아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장을 노리는 경쟁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중국 1위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SMIC" (Since. 2000년) 중국의 IC펀드, 지자체 보조금=> 지속적 성장 + 파운드리 시장의 의미 있는 플레이어로 계속해 자리 잡음. 파운드리 시장의 Big2 = TSMC, 삼성 규모나 기술, 점유율 그 어떤 요소들을 비교해봐도 비교 불가능. But, SMIC의 강점 = 규모나 기술, 점유율 X 중국 내수시장의 잠재력 O 중국시장의 IC소비량 현재: 엄청난 소비량의 대부분 = 중국이 아닌 외국 국가들로.. 더보기
반도체의 Z에 대한 이야기 - 인텔의 포베로스(2) https://youtu.be/ivuxlA_twww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이 Z에 대한 이야기를 이미 계속해서 접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제 128단까지 쌓아 올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말입니다. 하지만 반도체 시장의 Z는 단지 낸드플래시만의 것은 아닙니다. D램 시장에도 이제 Z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되는 중입니다. "패키징을 통해 디램을 적층 시킨다" 이 문장으로 혹시 떠올리시는 단어가 있으신가요? 어떤 분들께 이제 너무도 익숙해진 단어일지도 모를 이 HBM이 메모리 시장의 또 다른 Z의 모습이 되겠습니다. 기존의 사용하던 일반 D램은 PCB 기판의 이 D램칩들이 이렇게 가로로 정렬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HBM에서는.. 더보기
SMIC, 중국의 파운드리 시장 욕심 - SMIC 반도체 기업에 대해서(1) https://youtu.be/w4 GUAnpOMO0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2019년 반도체 시장을 뜨겁게 달군 키워드. 한-일 무역분쟁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 레지스트 플루오린화 수소 그 살 떨리는 시간 속에도 우리 사회가 소재와 장비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환기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긍정적인 영향들이 있었으리라 감히 평가해봅니다. 오늘은 앞으로 우리가 가져와야 할 시장이 아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장을 노리는 경쟁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 기업 SMIC, 2000년에 세워진 이 중국 반도체 기업은 중국의 다른 여러 기업들처럼 정부의 비호 속에 중국의 .. 더보기
반도체의 Z에 대한 이야기 - D램 시장과 기술 한계 극복(1)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이 수요 급감과 가격 하락에 맞서 초격차 기술 개발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황 사이클이 ‘죽음의 계곡’으로 불리는 불황을 벗어나면 차세대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미국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D램 점유율 3위 마이크론은 지난 16일 세계 최대 용량인 16Gb 모바일 D램 LPDDR4X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제품은 기존 최대 용량인 삼성전자의 12Gb 모바일 D램을 뛰어넘는 제품입니다. 7월 12Gb D램 양산에 들어간 D램 점유율 1위 삼성전자는 불과 5개월 만에 제품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삼성전자의 LPDDR5는 3월 역대 최대 용량을 구현한 ‘1.. 더보기
미중 무역 전쟁에 맞선 화웨이의 하모니OS(2) - 안드로이드 발전과정과 훙멍OS의 한계 https://youtu.be/j9 viTYUo-yk 유튜버 가젯서울 / 고품격 IT소식을 원하신다면 "가젯 서울" 구독 부탁드립니다. 먼저 이야기할 부분은 과연 하모니 OS가 성능면에서 안드로이드를 앞서는가에 대한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점과 관련해 화웨이의 ARK Compiler와 대응되는 안드로이드의 안드로이드 런타임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 나누면 좋겠습니다. 우선 앞선 설명대로 초창기의 안드로이드 경우 개발자가 만든 문서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작업을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동안에 진행하였고 이것은 앱 실행 시 혹은 앱 전환 간의 부하를 가중시켜 끊김 현상을 유발하는 것이 그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어왔었습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앱이.. 더보기